본문 바로가기

산행앨범

도심의 숲 *안산 자락길*트레킹

산행일:2023년2월26일 (일요일)

산행지:서울 서대문구 안산 자락길

산행친구:나홀로

 

안산 자락길 안내도

안산은 당시 궁궐 후보지 중 하나였고 그 자리에는 현재 연세대학교가 자리잡고 있다. 만약 무악으로 천도했다면 안산이 지금의 북악산 역할을 하게 되고 세종대로는 부도심인 신촌의 지위를 물려받았을 것이다.

 

 

무악재 역에서 안산 자락길로 오르면서 바라본 "안산 봉수대"

무악산 봉수대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봉원동에 있는 안산 정상에 있다. 안산은 해발 296m의 높이로 인왕산 줄기에 솟아오른 바위산으로 동봉과 서봉의 두 봉우리가 말안장처럼 생겼다고 하여 ‘안산’이라 불렸고, 산 정상에 봉수대가 있어 봉우재라고도 불렸다. 동쪽의 고개길을 무악재 혹은 길마재라고 하였고, 현재는 무악산과 안산이라는 명칭을 모두 사용하고 있다. 산 정상에 오르면 인왕산에 가려진 동쪽을 제외하고는 서울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풍경을 자랑하는 산이다.

 

 

걷기 좋은길 스태프가 있는 오늘의출발점 "안산 북카페"

안산(鞍山)의 '안(鞍)'은 말안장이란 뜻이다. '鞍'이란 글자는 두 글자가 합쳐져 만들어졌는데 '가죽 혁(革)' 또는 '고칠 혁'과 '편안할 안(安)'이다. 도성 서쪽 산인 안산은 서인들이 혁명을 일으켜 정권을 잡아야 편안하다고 해서 안산이라고 한다.

 

 

안산 자락길

안산자락길로 명명된 산책로는 데크길로 만들어놓아 힘들지 않게 다닐 수 있으며, 북카페, 전망대 및 메타세콰이어길 등 곳곳에 다양한 테마공간이 갖추어져 있기도 하다. 또한 정상인 안산 봉수대로 오르는 길은 험한코스는 없다. 산행이 수월하여 초보자도 쉽게 오를수 있다.

 

 

안산 자락길

서대문구에 위치한 안산 자락길은 노인.어린이,유아,임산부,장애인 등  보행약자도 안산에서 산림욕을 즐기며 편안하게 산책할 수 있도록 조성된 경사가 완만한 숲길로 조성되여져 있다. 특히, 휠체어및 유모차도 이용할 수 있도록배려한 무장애 숲길 구간이다.

 

 

자락길 전망대

안산에서는 서울의 수려한 경관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가 곳곳에 자리 잡고 있다.

 

 

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산과 인왕산

안산 자락길을 걸으며 북한산과 인왕산을 바라보면서 걸어보자. 안산 자락길은 7Km 길이의 원점회귀길로 한 바퀴 돌아보는데  2시간 30분 정도 소요된다. 산을 한 바퀴 돌아 출발한 곳으로 다시 돌아오게 되므로 어느 쪽으로 가든지 상관없다.

 

 

너와쉼터 화장실
산책도서관
산복도로 쉼터
"서대문이 오랜 시간 간직해온 생태순환길" 서대문 이음길

*서대문 이음길은 ?*안산,인왕산,북한산,백련산,궁동산을 연결하는 총 20.9Km의 5코스로 이루어진 생태순환길로 아름다운 자연생태를 탐방하고,서대문의 주요 역사, 문화 스토리를 둘러볼 수 있는 곳이다. 또 각 산을 연결할 뿐만 아니라 홍제천길(5.9Km)로 이어져 있어, 언제든지 쉽게 찿아와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조성된 길이다.

 

 

잣나무 숲
메타세콰이어 숲

안산 자락길은 계절따라  그 색이 다르게 우리에게 주는 감동이 다른길이다.봄은 온통 초록빛과  울긋불긋 노랗고 빨갛게 산을 물들이고여름은 숲들이 뿜어내는 푸른빛이 하늘을 가리고  더위를 식혀주며 가을은 단풍의 향연이 이여 지고 겨울이면 나무들이 백색의 옷을 입고 시민들을 맞이한다.

 

 

숲속무대

안산 둘레길에는  메타세콰이어 숲에 만들어진 쉼터광장이 있으며 자작나무 숲도 있어 여름이면 그야말로 도심 속의 허파다.메타세콰어 숲은 안산의 백미이다.마치 외국에 와 있는 기분이 들게 하는 곳이다.

 

 

숲속무대

숲속무대의 까치와 이름모를 새가 등산객이 주는 새우깡을 입에 물고 만찬을 즐기고  있다. 요즈음 새는 사람을 전혀 무서워 하지도 않고 공존의 생활을 즐기는것 같다.

 

 

모악정(母岳亭)

현판은 모악정(母岳亭)으로 표기 되여져 있으나 안내도 상에는 무악정으로 표기 되여져 있다.안산(鞍山)의 유래는 무악산, 모악산 등 여러 설들이 있지만 안산의 안(鞍) 자가 안장 안(鞍) 자인 것은 안산의 모습이 말안장 또는 우마에 걸쳐놓고 짐을 싣는 길마 같다는 데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또한 조선시대 동인들의 본거지가 낙산(駱山)인데 반하여 서인들의 본거지가 바로 이 안산(鞍山)으로 서인들이 오랜 세월 권력을 누렸던 것을 두고도 낙산의 낙(駱) 자를 두고 이러쿵저러쿵 얘기가 있다는데 언어의 유희 같다.

 

 

안산 헬스장
안산천 약수터

안산은 다른산에 비해 약수터가 많이 존재하는곳이다, 산행중 갈증을 해소 시켜주는 약수터.수질이 오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애완동물 목줄 미착용및 배변을 방치하는 행위. 방뇨및 쓰레기 등을 투기하는 행위.흡연을 하는 행위,약수로 손,발으 씻는 행위.음주가무등으로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등등~~ 깨끗하게 이용해야 한다.

 

 

안산 정상(무악산 봉수대)를 오르면서~~

전국 각지에서 오는 조선의 봉수는 남산에서 집결하였다. 남산에는 제1봉수대에서 제5봉수대까지 다섯 곳의 봉수대가 있었다. 이중 평안도 강계~황해도~경기도~한양 무악봉수대~남산으로 이어지는 봉수는 제3봉수대였다. 무악산 봉수대는 남산의 제3봉수대에 최종 보고되기 바로 전 단계의 봉수대였다. 
 

 

안산 봉수대 오르기전 전망대

안산 자락길에는 전망대가 곳곳에 설치되여져 있어 탁트인 전망을 바라보면 마음도 확 트임을 느끼게 해준다.안산은 산이 높지않고 산세가 험하지 않기에 도심의 야경를 보기위에 많은 사람들이 밤에도 산에 오르기도 한다.

 

 

안산(무악산)봉수대

무악산 봉수대는 진경산수화의 대가로 알려진 겸재 정선의 그림에도 등장한다. 겸재 정선이 양천 현령으로 부임하여 당시 강 건너 안산의 저녁 풍경을 바라보며 『경교명승첩』을 그렸는데 이 중에서 ‘안현석봉’이란 제목의 그림에서 무악산 봉수대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이 그림에서 안산 정상에 하나의 봉화가 촛불처럼 불을 밝히고 있는데, 이는 겸재 정선이 나라의 안위를 걱정하며 하루하루가 평화롭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 있다고 전해지고 있다.

 

 

안산 봉수대로 오르면서

서울의 안산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에 위치하는 해발높이가 약 296m의 산으로 무악산으로도 불렸으며, 정상에 봉수대가 있는게 특징이다. 산 정상에서 보는 경치는 서울에서서울에서 손에 꼽을 정도로 좋은데, 특히나 서울시내 야경도 볼만한 곳이다. 불교 태고종의 총 본산인 봉원사가 이 산의 남측자락에 위치해 있으며, 도심에 있는 산이다보니 접근성도 좋다. 
 
 

안산전망대에서 바라본 풍경

안산 자락길은 서울 시내 를 가까이서 조망할 수 있는 전망이 좋은곳이다.전망대가 있는곳에서는 도심을 바라보기 좋다. 롯데타워와 남산 서울 타워, 63빌딍, 청계산, 관악산, 삼성산과 한강을 조망할수 있다

 

 

봉수대에서

무악산 봉수대는 안산의 동쪽과 서쪽의 봉우리에 두 개의 봉수가 마주 보고 있다. 무악산 봉수대는 조선 초기인 1438년 세종24년에 축조한 것으로 추정되며, 두 봉수대 모두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모두 파괴되었고 이 중 동쪽 봉수대터를 1993년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13호로 지정하였다. 1994년에는 서울 정도 600년을 기념하여 동쪽 봉수대터에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하였는데 서쪽 봉수대는 동쪽 봉수대로부터 100여 미터 떨어진 곳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현재는 군부대의 통신탑이 자리하고 있다.

 

 

안산 봉수대에서

안산은 무악산(毋岳山)이라 불리기도 한다. 무악이라는 명칭은 한양 천도를 위해 지금의 청와대 뒤에 있는 북악산, 인왕산 등과 함께 도읍의 주산을 다투는 과정에서 태조 이성계가 안산을 무악산이라 부른 데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실학자 이수광이 쓴 《지봉유설(芝峰類說)》에는 '아이가 어머니의 등에 업힌 것 같은 한성의 부아암(負兒岩: 북한산 인수봉)이 마치 밖으로 뛰쳐나가려는 듯한 형상이므로 이를 막기 위해 안산을 어미 산, 즉 모악(母岳)"이라고 한 데서 유래했다고 적고 있다.

 

 

봉수대에서 바라본 풍경

안산의 전망은 이처럼 시원하다.인왕산과 북악산 그리고 북한산의 전망도 좋지만 안산의 장점은 그 산들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어 좋다.

 

 

봉수대에서 하산하면서
능안정
전망대에서
전망대에서 바라본 풍경

서울의 도심을 조망하기에 좋은곳은 남산과 인왕산,북악산, 그리고 안산등 많은 산이 있지만 가족들과 함께 자락길을 걸으며서울을 조망할수 있는곳은 이곳 안산이 최적이 아닌가 나름 생각해본다.

 

 

천연마당
서대문 독립공원으로 하산
서대문 독립공원 (독립문역)방향으로 하산

안산 자락길은 길이 엄청 편하다.자락길 이동하는 곳곳에는 표지판이 잘 설치 되여져 있어 내가 어디에 있는지 어느 방향으로 이동 해야 할지를 정확히 알수가 있다.

 

 

안산자락길 표지판에서

안산은 산의 생김새가 말이나 소의 등에 짐을 실을 때 사용한 길마와 같이 생겼다 하여 길마재라고도 하며 모래재, 추모련이라고도 불렀다. 정상에 봉수대가 있어 봉우재라고도 한다. 역사적으로는 조선 시대 이괄(李适)이 반란을 일으켜 전투를 벌였던 곳으로 유명하다.

 

 

서대문 형무소(西大門刑務所 사적 제324호)

구)서울구치소는  일제강점기의 명칭. 형조의 지휘를 받아 죄수를 관장하던 전옥서가 전신으로, 1908년(순종 2) 10월 21일 일본인 건축가 시텐노 가즈마의 설계에 의해 한국 최초의 근대식 감옥인 경성감옥으로 건축되었다. 1923년 서대문형무소로 개칭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 허위·유관순·강우규 등 수많은 애국지사가 수감되었던 민족수난의 현장이었다. 해방 후에는 서울형무소, 서울교도소로 명칭이 바뀌었으며, 간첩·사상범, 많은 운동권 학생과 재야인사 등이 거쳐간 곳으로서 한국의 교도행정상 빼놓을 수 없는 기념지였다.~다음백과에서 발췌~

 

 

서대문 독립공원

독립공원은 1945년 8월 15일 광복이 될 때까지 수많은 애국지사와 1960년대 정치적 변동을 겪으면서 많은 시국사범들이 수감되었던 서울구치소가 있었던 곳이다. 서울구치소가 1987년 11월 경기도 의왕시로 옮겨감에 따라 감옥 7동, 사형장, 지하여자감옥 등을 복원하고, 탑골공원에서 3·1운동기념탑을 이전하였으며, 1992년 영은문 주초와 연계하여 1992년 8월 15일 독립공원으로 조성하였다. ~대한민국 구석구석에서 발췌~

 

 

독립 정신을 높이기 위해 1896년 독립협회에서 세운 독립문(獨立門)

1898년1월 자주독립의 상징물 건립을 위하여 독립협회의 주관으로 이루어졌으며,기금은 협회가 모금한 돈으로 충당되었다. 중국 사신을 맞이했던 영은문 자리에 한국인 기사 심의석에 의해 중국인 노동자를 고용하여 구축한 최초의 서양식 건물이다.1979년구자춘 서울특별시장이 성산로를 건설하는 건설하는 과정에서 현저고가차도와 금화터널 예정지가 독립문 부지와 간섭되자, 이를 이격시켜 고가도로를 놓기 위해 그냥 통째로 들어 옮겼다. 1979년에 성산로 공사로 인해 본래의 위치에서 북서쪽으로 70미터 정도 이전했다,

 

독립문에서 인증샷을 마치고 지하철 독립문 역으로 발길을 옮기며 도심의 숲*안산 자락길* 트레킹 이야기는 여기서 마침니다.